|
|
| Line 3: |
Line 3: |
| | This is spoke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(located in North Korea) including 함경도 and 량강도/양강도 and parts of China. | | This is spoke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(located in North Korea) including 함경도 and 량강도/양강도 and parts of China. |
| | ==Pronunciation== | | ==Pronunciation== |
| | + | *Sometimes the last vowel is changed |
| | + | {| class="wikitable sortable" |
| | + | |- |
| | + | |+ |
| | + | ! Standard !! 함경 |
| | + | |- |
| | + | |장가 |
| | + | |장개 |
| | + | |- |
| | + | |장수 |
| | + | |장시 |
| | + | } |
| | + | *Sometimes and extra syllable is added |
| | + | {| class="wikitable sortable" |
| | + | |- |
| | + | |+ |
| | + | ! Standard !! 함경 |
| | + | |- |
| | + | |낫지 |
| | + | |낫지비 |
| | + | |- |
| | + | |가지 |
| | + | |가지비 |
| | + | } |
| | + | *Negatives can have special rules added |
| | + | {| class="wikitable sortable" |
| | + | |- |
| | + | |+ |
| | + | ! Standard !! 함경 |
| | + | |- |
| | + | |떠나지 못하고 |
| | + | |또두 못 나고 |
| | + | |- |
| | + | |먹어보지 않았소 |
| | + | |먹어 아이 보았소 |
| | + | } |
| | ==Grammar== | | ==Grammar== |
| | *-지 is used more often | | *-지 is used more often |
| Line 694: |
Line 730: |
| | *어서 오세요 → 날래 옵세 | | *어서 오세요 → 날래 옵세 |
| | ==See Also== | | ==See Also== |
| − | [http://books.google.com/books?id=NN-yIdLOkCoC&pg=RA1-PA318&lpg=RA1-PA318&dq=korean+dialects&source=bl&ots=qIZbgX6Hkw&sig=-QVNSijH5LI--0d8dNRibRThN08&hl=en&ei=8n16SsvCBYOcsgOl5oSuDw&sa=X&oi=book_result&ct=result&resnum=10#v=onepage&q=korean%20dialects&f=false The Korean Language] | + | *[http://books.google.com/books?id=NN-yIdLOkCoC&pg=RA1-PA318&lpg=RA1-PA318&dq=korean+dialects&source=bl&ots=qIZbgX6Hkw&sig=-QVNSijH5LI--0d8dNRibRThN08&hl=en&ei=8n16SsvCBYOcsgOl5oSuDw&sa=X&oi=book_result&ct=result&resnum=10#v=onepage&q=korean%20dialects&f=false The Korean Language] |
| | + | *[http://blog.naver.com/won_2063?Redirect=Log&logNo=110068024137 blog post] |
| | | | |
| | [[Category:Dialects]] | | [[Category:Dialects]] |
| | [[Category:North dialects]] | | [[Category:North dialects]] |
Revision as of 12:32, 7 June 2010
| Because not everyone lives in 서울.
|
|
|
|
|
Location
This is spoke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(located in North Korea) including 함경도 and 량강도/양강도 and parts of China.
Pronunciation
- Sometimes the last vowel is changed
| Standard |
함경
|
| 장가
|
장개
|
| 장수
|
장시
}
- Sometimes and extra syllable is added
| Standard |
함경
|
| 낫지
|
낫지비
|
| 가지
|
가지비
}
- Negatives can have special rules added
| Standard |
함경
|
| 떠나지 못하고
|
또두 못 나고
|
| 먹어보지 않았소
|
먹어 아이 보았소
}
Grammar
- -지 is used more often
- Object markers
- 했습니까? → 했슴매
- 했습니다 → 했소꼬마
- 합니까? → 함매
- 합니다 → 하꼬마
- 하겠습니다. → 하겠소꼬마
- 했을 것입니다 → 했습찌비
Vocabulary
| 함경 Dialect |
Standard Korean |
English
|
| ??
|
??
|
??
|
General 함경 Dialect
| 함경 Dialect |
Standard Korean |
English
|
| 가새비 : 장인
|
|
|
| 가세 : 가위
|
|
|
| 가자미식혜 : 소금에 절인 가자미로 만드는 발효 음식
|
|
|
| 간나 : 가시나. 여자 아이
|
|
|
| 갈배
|
갈비
|
|
| 갓주지 : 갓을 쓴 젊은 주지. 아이들에게 무서운 대상의 상징
|
|
|
| 강생이
|
강아지
|
|
| 개당이 없다 : 깔끔하지 못하다
|
|
|
| 갯돌 : 배를 육지로 올리거나 바다로 내릴 때 끌고 갈 방향 앞쪽에 받치는 나무토막
|
|
|
| 갱기
|
감자
|
|
| 건치 : 멍석. 거적
|
|
|
| 고애,고앵이
|
고양이
|
|
| 곽밥
|
도시락
|
|
| 구름깔개 : 참나무를 엷게 밀어서 결은 자리
|
|
|
| 국시
|
국수
|
|
| 귀성스럽다 : 귀인(貴人)성스럽다
|
|
|
| 그기 : 그것이
|
|
|
| 글거리 : 그루터기. 풀이나 나무 또는 곡식 따위를 베고 남은 밑동
|
|
|
| 글거리 : 줄거리. 줄기. 그루터기
|
|
|
| 까막조개 : 바지락
|
|
|
| 깡태밭 : 갯벌
|
|
|
| 껍지 : 껍질
|
|
|
| 꼬마. 꾸마. 구마 : -입니다. -습니다. -어요. 명, 형, 동사의 뒤에 붙어 존칭으로 대답하는 데 쓰는 토
|
|
|
| 나무리다 : 나무라다
|
|
|
| 나붕이
|
나비
|
|
| 낙지
|
마른오징어
|
|
| 날래 : 빨리
|
|
|
| 낭 : 낭떠러지
|
|
|
| 낭그 : 나무
|
|
|
| 내내로 : 늘. 항상
|
|
|
| 노배,무꾸
|
무
|
|
| 녹마 : 녹말
|
|
|
| 녹마국수 : 녹말국수
|
|
|
| 누데기 : 포대기
|
|
|
| 누베 : 누에
|
|
|
| 눈포래 : 눈보라
|
|
|
| 늠 : 놈
|
|
|
| 다쪼매 : 대님
|
|
|
| 달기
|
닭
|
|
| 돌대구리 : 돌대가리.
|
|
|
| 뒈지,도티
|
돼지
|
|
| 두렝이 : 두루마기
|
|
|
| 두루. 두뤄 : 들. 들판
|
|
|
| 두주리 : 둥우리
|
|
|
| 둔대 : 큰배를 움직이게 할 때 일종의 지렛대로 쓰는 나무토막
|
|
|
| 둥글소 : 황소
|
|
|
| 뒤울안 : 뒤란
|
|
|
| 뒤잽이줄 : 배를 선창에 묶어두는 밧줄
|
|
|
| 드비
|
두부
|
|
| 들뿌리 : 팬티
|
|
|
| 따발 : 똬리
|
|
|
| 떼장, <오누이장,썩장=종류에따라서>
|
된장
|
|
| 로덕 : 부인
|
|
|
| 말띠 : 허리띠
|
|
|
| 맥히다 : 막히다
|
|
|
| 맨들다 : 만들다
|
|
|
| 멀기 : 파도
|
|
|
| 메에진다 : 찢어진다
|
|
|
| 명태식혜 : 소금에 절인 명태로 만드는 발효 음식
|
|
|
| 무시기 : 무슨. 그것 등. 전라도의 '거시기'와 유사함
|
|
|
| 바수개 : 혼수품
|
|
|
| 바탕 : 부엌
|
|
|
| 반지그릇 : 바느질 그릇
|
|
|
| 발귀 : 발구. 걸채. 마소가 끄는 운반용 썰매
|
|
|
| 발써 : 벌써
|
|
|
| 발자옥 : 발자국
|
|
|
| 버들방천 : 작은 하천
|
|
|
| 버레 : 벌레
|
|
|
| 뼉다구 : 뼈다귀
|
|
|
| 삐르 : 창자
|
|
|
| 사람이웁찌비 : 사람이었을 것 같은데요
|
|
|
| 생지 : 행주
|
|
|
| 서답 : 빨래감
|
|
|
| 서뱅 : 서방
|
|
|
| 세모가매 : 쇠로 된 가마솥
|
|
|
| 소곰 : 소금
|
|
|
| 소캐우티 : 솜옷
|
|
|
| 순대 : 오징어나 명태의 뱃속에 갖은 재료를 넣고 구워 먹는 음식
|
|
|
| 숭이 : 숭어
|
|
|
| 쉰쇠 : 예단
|
|
|
| 식혜 : '쌀밥에 엿기름 넣고 삭힌' 것이 아니라, 대부분의 고기를 발효시켜 만든 음식
|
|
|
| 싸리말 : 싸리비를 말처럼 타면서 놀 때의 그 싸리비
|
|
|
| 싸리말 친구 : 죽마고우
|
|
|
| 싸움두. 싸움둥 : 싸웁니까
|
|
|
| 아오지 : 아우라지. 물이 합류하는 곳.
|
|
|
| 아조 : 아주
|
|
|
| 알 : 아래
|
|
|
| 양미리식혜 : 소금에 절인 양미리로 만드는 발효 음식
|
|
|
| 어랑 : 산골
|
|
|
| 어랑만두 : 김치를 속재료로 써서 만든 만두
|
|
|
| 어마이 : 시어머니
|
|
|
| 얼구다 : 얼리다. 어울리다
|
|
|
| 오레 : 올해. 금년
|
|
|
| 오솝소리 : 다소곳이
|
|
|
| 오시럽다 : 안쓰럽다. 애처롭다. 가련하다
|
|
|
| 옥시기,강내
|
옥수수
|
|
| 우어 : 웅어. 멸치과의 물고기
|
|
|
| 울레 : 신
|
|
|
| 움직임둥. 움직임두 : 움직입니까
|
|
|
| 이름(남편의 이름). (누구. 시동생)형. : 남편을 부를 때
|
|
|
| 이팝 : 쌀밥
|
|
|
| 자봉침 : 재종틀
|
|
|
| 잡싱 : 잡신(雜神)
|
|
|
| 저릎등 : 긴 삼대를 태워 불을 밝히는 장치
|
|
|
| 정낭 : 화장실
|
|
|
| 제짜불싸 : 비스듬이
|
|
|
| 조 : 저. 저기
|
|
|
| 조가지 : 조개
|
|
|
| 조개떡
|
송편
|
|
| 조이 : 조
|
|
|
| 조이밭 : 조밭
|
|
|
| 주제비 : 주제. 꼴
|
|
|
| 즘생 : 짐승
|
|
|
| 지렁
|
간장
|
|
| 지사기 : 기저귀
|
|
|
| 지팽이 : 지팡이
|
|
|
| 질게,찬새,해미,햄,햄새
|
반찬
|
|
| 짓두광주리 : 받짇고리
|
|
|
| 짜작돌 : 조약돌
|
|
|
| 짝 : 쪽. 방향
|
|
|
| 쭝쿠레다 : 잔뜩 쭈그리다.
|
|
|
| 차군 : 차가운
|
|
|
| 창란식혜 : 소금에 절인 창란으로 만드는 발효 음식
|
|
|
| 채쭉 : 채찍
|
|
|
| 초매. 초마 : 치마
|
|
|
| 축늉 : 화신(火神)
|
|
|
| 축하다 : 풀이 죽어 생기가 없다. 여위다
|
|
|
| 츨츨히 : 치렁치렁
|
|
|
| 타래곱 : 꽈배기처럼 꼬인 모습의 곱창
|
|
|
| 토가매. 세모가매 : 가마솥
|
|
|
| 토수레 : 베실(삼 껍질)을 짜서 만든 옷감
|
|
|
| 파리 : 썰매
|
|
|
| 파리꾼 : 썰매꾼
|
|
|
| 판자널 : 내 밑바닥에 까는 널빤지
|
|
|
| 폐릅하다 : 괴상하다
|
|
|
| 풀버레 : 풀벌레
|
|
|
| 하로 : 하루
|
|
|
| 한뉘 : 일평생
|
|
|
| 해오리 : 해오라기
|
|
|
| 호개 : 호랑이
|
|
|
| 혼소바루 : 똑바로
|
|
|
| 후양 : 휘양. 머리에 쓰는 방한구의 하나
|
|
|
| 흉집 : 흉가
|
|
|
함북 Area
| 함경 Dialect |
Standard Korean |
English
|
| 메늘아. 아가 : 며느리를 부르는 호칭
|
|
|
| 메늘이 : 며느리
|
|
|
| 싸위. (누구)애비 : 사위를 부르는 호칭
|
|
|
| 아바지. 아바이 : 시아버지
|
|
|
| 아방이. 아바지 : 아버지
|
|
|
| 안까이. (누구)애미 : 아내
|
|
|
| 어머이. 장모 : 장모를 부르는 호칭
|
|
|
| 제마. 제미. 어마이. 아매 : 어머니
|
|
|
함남 Area
| 함경 Dialect |
Standard Korean |
English
|
| 이사람. (성씨)서방 : 사위를 부르는 호칭
|
|
|
| 이간나새끼. 얘. (누구)애비 : 아들을 부르는 호칭
|
|
|
| 에미. 엄마 : 어머니
|
|
|
| 얘. 새아가 : 며느리를 부르는 호칭
|
|
|
| 아버지 : 장인을 부르는 호칭
|
|
|
| 아바지. 아버지 : 아버지
|
|
|
북청 Area
| 함경 Dialect |
Standard Korean |
English
|
| 토맨다 : (고기 등을) 토막낸다
|
|
|
Phrases
| 함경 Dialect |
Standard Korean |
English
|
| ??
|
??
|
??
|
See Also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