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"ㄴ + ㅎ"
From Korean Wiki Project
								
												
				 (please translate some sentences to english)  | 
				|||
| Line 1: | Line 1: | ||
'''Pronunciation 'Rule:'''  | '''Pronunciation 'Rule:'''  | ||
| − | *Case 1: 'ㄴ' [[받침]] + 'ㅎ' →  ㅎ   | + | *Case 1: 'ㄴ' [[받침]] + 'ㅎ' →  ㅎ dropped as ㅇ  | 
*Case 2: 'ㅎ' [[받침]] + 'ㄴ' →   gets pronounced as ㄴ  | *Case 2: 'ㅎ' [[받침]] + 'ㄴ' →   gets pronounced as ㄴ  | ||
| Line 7: | Line 7: | ||
| − | Case 1은 국립국어원의   | + | Case 1은 국립국어원의 표준 발음법 기준에 따르자면([http://www.korean.go.kr/09_new/minwon/qna_view.jsp?idx=35340], [http://www.korean.go.kr/09_new/minwon/qna_view.jsp?idx=59833]) 원칙적으로는 잘못된 발음법입니다.  | 
| − | ㄴ 뒤에 오는 ㅎ은 동화되거나 탈락되지 않고 ㅎ 그대로 발음되는 것이   | + | ㄴ 뒤에 오는 ㅎ은 동화되거나 탈락되지 않고 ㅎ 그대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입니다.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 생활에서는 발음의 편의상 ㅎ대신 ㅇ으로 쉽게 발음하기 때문에, ㄴ+ㅇ의 연음 규칙의 적용을 받게 됩니다. (please translate to english)  | 
==Examples==  | ==Examples==  | ||
Revision as of 08:34, 24 May 2013
Pronunciation 'Rule:
If a ㅎ and ㄴ are consecutive sounds, the ㅎ becomes a ㄴ sound. 
Case 1은 국립국어원의 표준 발음법 기준에 따르자면([1], [2]) 원칙적으로는 잘못된 발음법입니다.
ㄴ 뒤에 오는 ㅎ은 동화되거나 탈락되지 않고 ㅎ 그대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입니다.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 생활에서는 발음의 편의상 ㅎ대신 ㅇ으로 쉽게 발음하기 때문에, ㄴ+ㅇ의 연음 규칙의 적용을 받게 됩니다. (please translate to english)
Examples
Case 1
- 간호사 [가노사]
 - 견학 [겨낙]
 - 군화 [구놔]
 - 균형 [규녕]
 - 괜히 [괘니]
 - 만화 [마놔]
 - 면허증 [며너쯩] (http://korean.go.kr/09_new/minwon/qna_view.jsp?idx=75794)
 - 문학 [무낙]
 - 문화 [무놔]
 - 맨홀 [매놀]
 - 반하다 [바나다]
 - 반항 [바낭]
 - 번호 [버노]
 - 번화가 [버놔가]
 - 변하다 [벼나다]
 - 변화 [벼놔]
 - 분홍색 [부농색]
 - 빈혈 [비녈]
 - 산호 [사노]
 - 손해 [소내]
 - 신혼부부 [시논부부]
 - 은하수 [으나수]
 - 은행 [으냉]
 - 인형 [이녕]
 - 전학 [저낙]
 - 전화 [저놔]
 - 친하다 [치나다]
 - 튼튼하다 [튼트나다]
 - 헌혈 [허녈]
 - 혼혈 [호녈]
 - 흔하다 [흐나다]
 - 흔히 [흐니]
 - 환하다 [화나다]
 
Case 2
- 좋나? [존나?]
 - 낳는다 [난는다]
 - 놓는다 [논는다]
 - 쌓네 [싼네]